
(서울=뉴스1) 문대현 기자 = 오는 4월 29일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지 100일째가 된다. 대선 당시부터 관세 부과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관세 시동을 걸었다.
그나마 한국에 매긴 상호 관세에 의약품은 빠졌지만, 개별 관세 부과 가능성이 있어 제약·바이오 업계의 혼란은 여전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의약품 관세 부과에 대한 각계의 의견 수렴 절차가 끝나는 5월 초쯤 결론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7일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트럼프 후보의 친기업 정책에 기대를 걸었다. 전임 조 바이든(민주당) 대통령이 재임 시절 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300개 이상 의약품 특허 목록에 이의를 제기하는 등 기업을 옥죄는 정책을 펼쳤기에 반대편 진영의 후보가 뽑히길 내심 바랐다.
결과적으로 공화당 소속의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서 이전보다 자유로운 기업 활동에 대한 기대도 컸다. 그러나 대통령이 된 트럼프는 취임 직후부터 관세라는 폭탄을 들고 나왔다.
국가와 품목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를 겨냥해 전방위 관세 부과에 나섰다. 4월 초에는 한국에 25%의 상호 관세 세율을 적용했다. 수출로 지탱하는 한국 경제는 큰 위기에 직면했다.
다만 의약품은 최종 관세 부과 대상 리스트에서 빠졌다. 생명과 직결되는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자국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미국의 우려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제약·바이오 업계로서는 일단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한 셈이다.
그러나 안도의 한숨은 짧았다. 곧바로 미국이 의약품을 품목 관세 부과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시 혼란에 빠졌다.

관세에 영향을 받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GC녹십자, 바이넥스 등 국내 주요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은 미국 관가 동향을 살피고 있다. 언제 어떤 식으로 발표할지 몰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미국 대관 조직에 힘을 쏟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CDMO 기업은 글로벌 시장 공략이 중요한 만큼 규제 변화를 파악하고, 수입 담당 파트너사와 협업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도 소매를 걷어 올렸다. 보건복지부는 관세 위협을 받는 기업들의 불확실성 해소를 '바이오헬스산업 관세피해지원센터'를 설치했다.
센터는 수출 규제 및 관세 장벽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내 기업들의 통상 위험관리 역량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한편 의약품 관세 관세 정책은 다음 달 서서히 윤곽이 드러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의약품 수입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제한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상황인데, 이에 대한 각계의 의견 수렴 절차가 5월 7일부로 끝난다.
이 절차를 마치면 상무부 장관이 조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어 이르면 5월 초중순 의약품 관세 정책이 나올 수 있다. 만약 조사 과정에서 내부 검토가 길어질 경우 발표는 수개월 뒤로 밀릴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