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지방 부자들이 올해에만 서울 아파트를 4000건 넘게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주택자 세금 규제와 저출생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가 맞물리며 '한강변 똘똘한 한 채'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영향으로 3월에는 강남구와 송파구의 지방 거주자 매입 건수가 큰 폭으로 늘었다. 전세를 끼고 매매하는 갭투자가 가능해진 영향이다.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3월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4127건으로 집계됐다. 월별로 보면 1월 803건, 2월 1193건, 3월 2131건으로 매달 증가 추세다. 3월 2131건은 지난해 7월 2256건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한강변을 끼고 있는 마포·용산·성동구의 선호도가 뚜렷하다. 강남구가 20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송파구 164건, 서초구 96건 등 순이다.
3월 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면서 강남구와 송파구의 외지인 매입 건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포구 145건, 성동구 132건, 용산구 63건 등 한강벨트 지역도 외지인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3구와 마용성의 외지인 매입 건수는 총 805건으로 전체의 37.8%를 차지한다. 서울에 원정 투자를 한 지방 부자 10명 중 4명은 강남3구와 마·용·성을 택한 셈이다.
지난해 12월 106억 원에 거래된 서울 서초구 반포동 원베일리 전용 133㎡의 매수자도 부산 해운대구에 거주하는 60대였다.
전문가들은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지방 자산가들의 '원정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주택 가액이 아닌 주택 수에 집중하며 다주택자의 징벌적 규제가 지속되면서 서울 '상급지'의 집값을 계속 끌어올리고 있다고 분석한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다주택자 세금 규제가 완화되지 않는 한 지방 자산가들의 서울 원정 투자 흐름은 지속될 것"이라며 "3월 말부터 강남구와 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기 때문에 4월 이후에는 성동·마포 등 지역의 외지인 매입 비중이 더 두드러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