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처의 브랜드 정책 혁신 도전형 연구개발(R&D) '앞으로(APRO)' 사업의 제도개선 추진단 회의를 21일 개최했다. 해당 사업군 총괄 관리자(IPL)들이 참석했다.
지난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혁신·도전적 R&D 육성시스템 체계화 방안'이 심의·확정됨에 따라 제도개선 추진단이 구성됐다. 추진단은 지난 1년간 혁신 도전형 R&D 수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제도적 애로사항을 발굴·개선해 왔다.
이날 추진단 회의에선 APRO 사업에 적합한 성과관리 방안이 다뤄졌다. 32개 사업군 중 대표 사업들인 △한계 도전 R&D 프로젝트(과기정통부)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보건복지부) △산업기술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산업통상자원부) 등의 성과관리 체계 및 애로사항이 공유됐다.
참석자들은 사업군 유형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준 마련도 모색했다.
또 APRO 사업군 총괄 관리자인 IPL을 평가하는 기준도 논의됐다. 관리 과제가 많아 기획 업무에 집중하는 기존 전문기관 프로그램 매니저(PM)와 달리 IPL은 소규모 R&D 과제의 기획-선정-진도관리-평가 등 전주기를 밀착 관리해야 한다.
IPL이 실패 가능성이 높은 도전적 R&D를 다루는 점을 고려, 이에 적합한 평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회의 참여 기관들은 현행 평가 기준을 공유하고 개선점을 찾아봤다.
APRO R&D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도 제시됐다.
올해 3월까지 한국연구재단 한계도전 전략센터장을 지낸 최영진 세종대 교수는 APRO 사업군 내실화, IPL 권한 보장을 위한 선제적인 법·제도 기반 마련을 주문했다. 또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처럼 조직·예산 등에서 연구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전담 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임요업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조정관은 "기술패권 시대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추격형에서 선도형 R&D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연구 현장 모두가 공감하고 있을 것"이라며 "APRO R&D 정책 추진을 통해 연구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선도형 R&D로의 체질 개선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